본문 바로가기

경제

갑기금(Capital A)과 거시건전성 정책

갑기금(Capital A)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대차대조표상 자본금계정으로 ①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설치
및 영업행위를 위하여 본점이 한국은행 등에 외화자금을 매각하여 해당 지점에 공급한
원화 자금 ② 해당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적립금에서 전입하는 자금 ③ 외국은행 국내지점
을 추가로 설치하기 위하여 이미 국내에 설치된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이월이익잉여금에
서 전입하는 자금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갑기금은 금융위원회로부터 인정받은 금액에
한하여 지점별로 관리하되 각 외은지점의 갑기금은 3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은행법
시행령」 제26조, 「은행업 감독규정」 제11조)
연관검색어 : 을기금(Capital B)

 

 

 

거시건전성 정책

 

개별 금융회사의 부실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미시건전성정책(microprudential policy)
과 달리 경제전체의 금융안정을 위해 시스템 리스크(systemic risk)를 억제하는 정책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거시건전성정책(macroprudential policy)의 목표는 시스템 리스
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 과도한 금융불균형 축적 억제, 급격한 되돌림 현상(unwinding)
완화, 금융시스템의 복원력(resilience) 강화, 금융연계성 제어 등을 통해 금융위기의
발생가능성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spillover effects)을 최소화하는 데 있
다. 거시건전성정책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등 여러 다른 정책과 긴밀히 관련되어 있으
므로, 거시건전성정책의 수립과 집행에는 여러 정책당국 간 정보 공유와 협력 및 조정이
긴요하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액익스포저 규제  (0) 2021.02.08
거액결제시스템 정보  (0) 2021.02.08
감독자협의회대 대해서  (0) 2021.02.08
간접세/직접세  (0) 2021.02.08
간접금융/직접금융  (0) 2021.02.08